- 증상 발현을 억제할 뿐 치료하는 것은 아니다.
- 모든 피부질환에 증상경감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반응성이 좋은 질환으로 아토피 피부염, 건선, 습진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등이 있다.
[1] 상대적 효력 및 최대용량 - 피부 적용시 피부 투과율이 약물의 흡수에 중요하므로 일반적인 경구 부신피질호르몬제의 potency와 서로 다른 점이 있다.
효력 | 성분명 | 최대용량 (1주일) | 제형 | 가장 강함 | betamethasone dipropionate 0.05% clobetasol propionate 0.05% |
15-20 g
| cream, oint cream, oint, soln | 강함 | amcinocide 0.1% desoxymethasone 0.25% flucinonide 0.05% halcinonide 0.1% |
15-25 g
| cream, oint lotion, oint cream, gel cream | 중간 | betamethasone valerate 0.1% fluocinolone acetonide 0.025% hydrocortisone valerate 0.2% triamcinolone acetonide 0.1% | 40-50 g 40-50 g
40-50 g | soln cream cream cream | 약함 | betamethasone valerate 0.01% prednicarbate 0.25% triamcinolone acetonide 0.025% |
| cream oint cream | 가장 약함 | hydrocortisone 0.5-2.5%
methylprednisolone acetate 0.25-1% | 성인 150 g 어린이 60 g 유아 20 g
| oint, lotion
oint |
[2] 국소 부작용 피부 부작용 - 피부위축, 모세혈관 확장
- 자반증 : 특히 노인건선에서 흔히 본다.
- 팽창선조 (striae distensae) : 처음에는 붉은색 또는 약간 자주색의 선상으로 보이는 피부위축이 나타난다. 특히 소아건선에서 문제가 된다.
- 여드름 발생 및 악화, 피부감염 발생 및 악화
- 주사 발생 및 악화 : 코나 뺨 등이 붉어지며 혈관확장 및 발진 등이 나타난다.
- 반동현상 : 강한 부신피질호르몬제를 사용하다가 갑자기 중단하는 경우 병변이 급격히 악화되는 것이다.
대처법 ☞ 특정한 상황에서는 강력한 제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조절한 다음 보다 순한 제제로 점진적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 후 중단시에도 점진적으로 감량해야 반동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유지요법시에는 가장 낮은 potency를 선택하며, 2종류를 처방하여 좀더 강력한 것을 발적이 있거나 저항성이 있는 부분에만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얼굴이나 굴절부위는 부작용이 적은 hydrocortisone 제제가 적당하다. [3] 복약지도 사용법 - 증상에 따라 1일 1-4회 정도 바른다.
- 충분히 문지르고 가능한 한 피부가 촉촉할 때 바른다.
주의사항 - 소아나 간장애 환자는 전신 부작용에 주의한다.
- 유아 및 4세 이하의 소아에게는 3주 이상 사용해서는 안된다.
- 적당한 피부 습윤제를 사용함으로써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